반응형
전 세계적으로 많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생겨났고 이와 동시에 *풀필먼트(Fulfillment) 서비스가 등장하였습니다.
*풀필먼트 서비스
- 물류 전문업체가 상품을 판매하려는 업체들의 위탁을 받아 배송, 보관, 포장, 재고관리 그리고 교환, 환불에 대한 모든 물류과정을 담당하는 물류 일괄 대행 서비스. 대표적으로 아마존 풀필먼트(FBA : Fulfillment By Amazon)가 있다.
그리고 전자상거래 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전자상거래 수출 거래구분(15)이 신설되었습니다. 수출 거래구분이란 쉽게 말해 물품이 국경간에 이동하는 사유를 관세청이 대략적으로 파악할수 있도록 하는 고유번호와 같은 것입니다.
하지만 풀필먼트 업체에 물품을 수출할 경우 이 수출 거래구분에 대한 애매한 상황이 발생하였는데요.
부호 | 거래구분 |
15 | 전자상거래에 의한 수출물품 |
31 | 위탁판매를 위한 물품의 수출 |
위와 같이 수출 거래구분을 전자상거래를 위한 수출물품이기에 수출 거래구분을 15번으로 해야할 지 혹은 위탁판매를 위해 수출하는 물품이므로 31번으로 해야할지 애매한 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 처럼 풀필먼트 업체로 물품을 수출하는 경우, 15번 혹은 31번으로 수출신고를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풀필먼트 서비스가 크게 성장하고 많은 업체 혹은 개인이 풀필먼트 업체로의 수출량이 증가하자, 이러한 수출 구분을 명확하게 하기위해 풀필먼트 수출물품 거래구분(17)이 신설되었습니다.
부호 | 거래구분 |
17 | 전자상거래 풀필먼트 수출물품 |
앞으로 DHL을 통하여 FBA(아마존 풀필먼트) 혹은 타 풀필먼트 업체로 수출할 경우 거래구분 17로 수출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전자상거래, 풀필먼트 수출 혹은 DHL 서비스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반응형
'무역용어(Trade Ter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용어 이해하기] Master B/L, House B/L, Switch B/L, Surrender B/L 이란? (0) | 2023.03.18 |
---|---|
[무역용어 이해하기] IPPC 마크란 ? (0) | 2022.10.24 |
[무역용어 이해하기] HS 코드란??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