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역용어(Trade Terms)

[무역용어 이해하기] IPPC 마크란 ?

반응형

 

 수입되는 목재에 붙어 국내에 유입되는 외래종 벌레, 곤충등은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 이는 한 나라의 생태계를 파괴할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끼칩니다. 때문에 모든 국가들은 해외로부터 수입되는 목재에 붙어 있을 수 있는 병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IPPC 마크가 없는 나무 상자, 나무 팔렛트, 목재류 등의 반입을 금지하고 있는데요. 이 IPPC 마크는 무엇일까요?

 

 IPPC 마크는 목재포장재 혹은 목재류 등에 열처리, 살균 혹은 소독처리를 통해 병해충의 차단을 확인하는 화인입니다. IPPC 마크가 없이 목재포장재를 혹은 목재류 등을 수출할 경우 과태료는 물론, 제품 반송 혹은 압류까지 당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출 전에 확인 해야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

 


목재포장재 방역(소독) 방법

 

 목재포장재의 방역(소독) 방법에는 총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HT (Heat Treatment) : 열처리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며, 목재 가장 두꺼운 중심부 최소 온도가 56도로 최소 30분간 열을 이용하여 병해충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2. MB (Methyl Bromide) : 약품을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일정 농도 이상을 노출시켜 병해충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3. DH (Dielectric Heat Treatment) : 마이크로웨이브츠 전파를 이용하여 빠르게 열을 일으켜 병해충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IPPC 마크

 

출처 : https://blog.naver.com/tradlinx0522/222222804214

 

 IPPC 마크는 위의 예시와 같으며, 화인에는 반드시 아래와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 IPPC Symbol : IPPC에서 승인한 로고
  • 국가 코드 : ISO의 두 자리 나라코드
  • 관할기관코드 : IPPC마크 사용 등록증을 발급한 지역본부 기관 번호(소독업체 고유번호 앞 두자리)
  • 소독업체코드 : 농림축산본부가 목재 소독 및 마크 표식에 대한 권한을 부여한 업체 고유 번호(소독업체 고유번호 뒷 세자리)
  • 방역(소독)처리 코드 : HT, MB, DH 방식 중 실시된 방역(소독) 코드

 

IPPC 마크 예시

 

  목재류 수출입도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고 규제도 상이하니 반드시 수출입 전 확인하시길 바라며, 수출뿐 아니라 수입시에도 IPPC 마크를 확인하여 수출자, 수입자 모두에게 피해가 없는 안전한 수출입이 진행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